본문 바로가기
반응형

생활정보68

겨울철 건조한 실내, 가습기 없이도 습도를 조절하는 방법! 코 끝이 시린 바깥온도로도 겨울이 왔다는것을 체감할 수 있지만, 습도에 민감한 사람들은 잠을 자고난 후 코와 목이 따가운것으로 겨울을 체감합니다. 온도가 내려가면서 공기중의 습도도 자연스럽게 낮아지며, 건조한 공기는 호흡기 질환(감기 등)과 피부 및 안구에도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데요. 방안의 습도가 낮아 건조함을 한 번이라도 느끼신다면, 오늘부터라도 아래의 4가지 간단한 방법으로 실내 습도를 조절 해 보시기 바랍니다. 1) 빨래널기 집안에서 습도를 높이기 위해 가장 많이 사용하는 방법은 아마 빨래널기가 아닐까 싶은데요. 젖은 수건이나 빨래를 널어놓으면 수분이 증발하면서 습도를 조절하게 됩니다. 빨래를 말리면서 습도를 조절할 수 있는 방법이죠. 하지만 빨래를 말리고 난 후에는 .. 2022. 11. 20.
주방 세균 덩어리! 주방에서 당장 버려야 한다는 물건의 정체 설거지를 할 때 항상 찜찜한 게 있습니다. 바로 식중독의 원인이자 염증을 일으키는 녹농균도 굉장히 많이 들어 있는 수세미 입니다. 그 수세미를 계속 똑같은 걸 쓰니깐 깨끗한 건가? 이런 생각도 들고 오히려 수세미에 세균이 더 많다는 얘기도 있고 그렇다고 한 번 쓰고 버릴수도 없고 참 난감한데요. 그럼 어떻게 수세미를 관리하여 건강을 지킬 수 있는지 알려드리도록 하겠습니다. 수세미 교체 시기 수세미는 한 달에 한번 교체하는 것이 가장 좋습니다. 일주일에 한 번씩 주기적으로 소독한다면 한 달보다 더 오래 사용할 수 있습니다. 수세미 소독 방법 수세미는 일주일에 한 번 정도 소독만 제대로 해주면 보다 오래 사용 가능하고 세균 또한 없앨 수 있습니다. 수세미.. 2022. 11. 20.
과태료 왕창 뭅니다! 잠깐의 주차도 절대 하면 안 되는 주차자리 우리가 운전을 하면서 주차를 하는 건 당연한 일입니다. 그런데 어떠한 급한일이 있어도 절대 주차하면 안되는 자리가 있다고 하는데요. 오늘은 밖에 잠깐 정차해야될 때 일반 과태료 외에 자칫하면 최대 130만원까지 낼 수 있어 절대 하면 안되는 주차자리에 대해 알려드리도록 하겠습니다. 아래 해당내용 보시고 참고하시길 바랍니다. 장애인 주차구역 운전자면 누구나 장애인주차구역에 주차를 하면 안 된다는 상식을 알고 있습니다. 주차를 떠나 살짝 선을 밟은 상황이라도 10만 원의 과태료가 부과되는데요. 잠깐이라도 차를 대면 10만 원의 과태료가 나오는데 간혹 "그냥 10만 원 내고 그냥 주차하겠다 이미 딱지 끊었는데 그냥 두지 뭐.."이렇게 생각하신 분들이 계십니다. .. 2022. 11. 20.
내 권리는 내가 갖는다! 1인당 11만 원씩 지원하는 복지 제도 기획재정부 복권위원회에서 '국민 모두가 문화를 누릴 수 있도록'이라는 가치로 만든 복지제도가 있습니다. 국민 문화향유 권리를 보장하고 소득간의 문화 격차를 완화하기 위해 만들었다고 합니다. 신청하지 않으면 주지 않는다고 하니 아래 내용 살펴보시고 혹시 지원대상은 아닌 지 알아보시고 챙기시길 바랍니다. 신청방법 주민센터를 방문하여 신청서 작성하고 자격검증을 받은 뒤에 본인 상세정보를 입력하게 되면 현장에서 바로 수령 가능합니다. 어플로 사용하는 방법은 어플을 설치하고 본인인증, 상세정보 등록 후 신청하시면 됩니다. 약 2시간 후에 가까운 농협을 방문하게 되면 카드를 바로 발급받을 수 있습니다. 문화누리카드 홈페이지 신청 시 약 2주 정도 소요되며 상단 .. 2022. 11. 20.
반응형